김남권 기자 = 한국과 국내 대표기업들의 위험지표가 2년여 만에 최고 수준까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과 내수 부진 등 대내 악재에 더해 중국 경제 우려, 신흥국 위기, 미국 기준금리의 인상 임박 등 대외 불안까지 겹친 탓으로 보인다.
1일 시장정보업체 마킷에 따르면 한국의 5년 만기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에 붙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9월 29일 기준)은 82.43bp(1bp=0.01%포인트)로 집계됐다.
이는 2013년 9월 2일(83.07bp)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CDS는 채권을 발행한 국가나 기업이 부도났을 때 손실을 보상하는 파생상품으로 가산 금리(프리미엄)가 붙는다. CDS 프리미엄이 올라가는 것은 그만큼 해당 국가 또는 기업의 부도 위험이 늘어났다는 것을 뜻한다.
한국의 CDS 프리미엄은 중국의 주식시장 폭락이 가시화한 7월 이후 상승 흐름을 타기 시작했다.
중국이 위안화 가치를 전격적으로 평가절하한 8월 11일 후부터 급등세를 타 8월 24일에는 79.58bp를 기록하기도 했다.
한국 부도 위험은 이후 하락세를 보였지만 미국 기준금리가 동결된 지난달 17일을 저점으로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당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준금리를 동결한 강력한 배경으로 중국을 비롯한 세계 경기 불안이 꼽혔기 때문이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선진국은 물론 신흥국 금융시장의 동반 불안은 국내 금융시장은 물론 경기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세계 경기 불안은 가뜩이나 나쁜 국내 수출 경기에도 큰 리스크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세계 경제 불안의 진원지로 꼽히는 중국의 부도 위험도 2년3개월 만에 최고로 올랐다.
중국의 CDS 프리미엄은 135.31bp까지 올라 2013년 6월 25일(138.61bp) 이후 가장 높았다.
중국의 부도 위험은 2013년 세계 금융시장에 충격을 준 '테이퍼 탠트럼'(긴축 발작) 시기로 회귀했다.
당시는 미국 연준이 양적완화 출구전략 시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여파로 세계 금융시장은 긴축 발작(테이퍼 탠트럼)의 충격을 받았다.
중국 경기 부진에 통화 가치 급락에 시달리는 자원 수출국들의 CDS 프리미엄도 급등했다.
브라질, 말레이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부도 위험은 금융위기로 휘청거린 2008~2009년 이후 최고조로 올랐다.
이들 나라의 CDS 프리미엄은 한국 부도 위험과 마찬가지로 미국 기준금리가 동결로 결정된 지난달 중순 이후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
기업들의 위험지표도 덩달아 상승했다.
올해 주가 폭락으로 위험도가 높아진 중국 업체들과 저유가 '불똥'을 맞은 글로벌 기업들의 부도 위험이 특히 크게 커졌다.
폴크스바겐의 CDS 프리미엄은 올해 40~70bp 수준을 유지했지만 배기가스 저감장치를 눈속임한 사실이 적발되면서 지난달 29일 309.14bp까지 치솟았다.
폴크스바겐의 부도 위험은 세계 금융위기가 휘몰아친 2009년 3월 수준까지 급등했다.
'폴크스바겐 사태'의 불똥이 튄 다임러, BMW 등의 부도 위험도 크게 높아졌다.
한국 대표기업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삼성전자의 CDS 프리미엄은 77.98bp까지 올라 2013년 6월 13일(84.22bp) 이후 2년 3개월 만에 최대였다.
실적 변수가 삼성전자의 부도 위험 수위를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5월 초 삼성전자의 부도 위험은 1분기 깜짝 실적 덕분에 올해 최저치인 45bp까지 낮아졌지만 이후 상승 흐름을 탔다.
삼성전자의 CDS 프리미엄은 6월 말부터 다시 하락세를 보였다가 7월 말 급등하기 시작했다.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6조9천억원)이 시장 기대치와 작년 동기를 밑돌게 나온 것이 악재였다.
지난달 들어 다시 부도 위험이 상승세를 보이는 것은 3분기 실적 전망 분위기가 좋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스마트폰의 주요 시장으로 떠오른 중국에서 삼성전자가 고전을 거듭하는 점도 실적에 불안을 더하는 요인이다.
이가근 KB투자증권 연구원은 "스마트폰의 성장세가 이미 꺾인 가운데 고부가가치폰의 비중이 많이 줄어들고 있다"며 "중국의 부진이 눈에 띄는 가운데 가전 수요 위축도 삼성전자의 수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대차(108.93bp), LG전자(118.49bp), SK하이닉스(352.27bp) 등 대기업 부도 위험도 1~2년 만에 최고로 솟구쳤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